본문 바로가기

방송 .T V . 연예

[무신]최우의 강화도 천도, 백년 대몽항쟁이 아닌 최씨 무신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

최우, 강화도로의 천도를 강하게 밀어붙인다. 고종은 물론 조정 신료들과 주전파장료들의 만료에도 불구하고 반대하는 장군의 목을 베고 , 다루가치들을 먼저 제가하는 등 수단으로 강화도로의 천도를 기정사실로 만들어버린다.

최우는 왜 이토록 강화도 천도를 강하게 밀어붙일까?

몽고 다루가치의 횡포와 수탈에 참기 어려운 최우는 빅장이라는 미명하에 강화도의 천도를 결심한다. 몽고의 식민통치하에서 최씨의 무신정권은 존재를 할수가 없다. 고려의 존속만이 아닌 무인의 자존심과 무신정권의 연명을 위해서는 천도는 꼭 필요한것이였다. 투항은 곧 무신정권의 종결을 의미하는것이다.

역사속, 최우가 천도를 결심한것은 몽골의 제1차 침입이 한창 진행중이던 1231년 12월이였다. 승천부(昇天府) 부사 윤린(尹繗)과 녹사(錄事) 박문의(朴文檥) 등이 강화가 피난지로 안성마춤이라는 건의를 하자 최우는 그들이 먼저 살펴보게 했다.

1232년 6월에 최우가 자기집에서 재추회의를 열었을 때에도 참지정사 유승단은 몽고에 사대하는 것은 어찌할 수 없는 일이라고 하여 천도에 반대하며 화친론을 들고 나왔고, 야별초 지유 김세충은 힘써 싸워 적과 대결하자고 주장하며 역시 천도론에 반대했다.

유승단의 화친론은 김약선을 대표로 하는 무신들의 주장이였고, 김세충의 결사항쟁론은 진정한 김경손 최춘명과 같은 진정한 주전파들의 주장이기도 했다. 주전파와 화친파 그들 모두가 이유는 다르지만 천도는 반대했다.

하지만 최우를 대표하는 도방세력은 강화도로의 천도를 적극 추진했다. 그들은 화친파도 주전파도 아닌 자신들의 일신의 권위만을 생각하는 도망주의 자들이였다.백년항쟁은 그저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화려한 명분에 불과 햇다.

결국 최씨무신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최우는 천도를 반대하는 세력을 제거하기로 한다. 하지만 화친파의 대표인 유승단은 , 고종의 스승이고 덕망이 있는 문신의 대표로 감히 제거하지 못하고, 결사항쟁을 주장하는 김세충을 처단하며 위압적인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강화도 천도의 목적을 달성한다.

1232년 2월 천도 논의를 시작으로 고종이 강화도로 행궁을 옮긴 7월7일, 논의에서 확정 및 시행에 이르기까지는 불과 반년도 걸리지 않았다. 천도라기보다 허겁지겁 도망을 쳣다는 표현이 더 어울리는 행위였다.

김세충과 같은 주전파에 대한 최우의 야만적인 행위는, 강화도 천도가 대몽항쟁에 대한 결의가 아닌 , 최씨 무신정권의 명백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임을 역설적으로 보여준 대목이다.

백년 대몽항쟁이라는 미명하에 천도를 했지만 최씨 무신정권은 강화도 천도후 방어에만 집중할뿐 실질적인 대몽항쟁을 펼치지 않았다. 그저 천연의 요새인 강화도에서 백성들에게서 수탈해온 물품으로 자신들의 사치스러운 생활을 이어갔을뿐이다.

최씨 무신정권의 변덕스러운 대몽정책은, 몽고를 자극하여 백성들을 더 심한 고통속에 밀어넣엇고, 결국 몽고군의 만행으로 대몽항쟁에 나선것은 최씨의 무신정권이 아닌 몽고와 고려조정의 이중수탈에서 허덕이는 백성들이였다

강화도에 웅크려 간신히 명목을 유지한 무신정권 , 39년간 백성들을 몽고의 철퇴와 강화도 무신정권의 이중 수탈속에서 허덕이게 하다가, 고려의 봉쇄정책으로 보급이 막히면서 개경으로 환도를 하기에 이른다.

개경으로의 환도는 무신정권의 종말과 몽고식민통치의 시작을 의미한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하고, 추천은 블로거를 춤추게 합니다. 추천은 로그인이 필요없습니다!